오피니언

thumbimg

커피 한잔 / 송현채 시인(어린이대공원역장)
조기홍 기자 2016.07.02
커피 한잔 은 강(恩江) 송 현 채 향긋한 커피 한잔의...여유를 느끼며 미소 지으며 살고 싶다 코끝을 스치는 커피 향에 취해 길 떠나고 나는 지나간 삶의 그리움과 다가올 삶의 기대 속에 늘 설레임이 있다. 그리운 마음 달빛 저문 새벽길 희망이라는 연을 날리고 열 ...

thumbimg

버려진 옷장 / 정유광 시인
조기홍 기자 2016.07.02
버려진 옷장 / 정유광 외진 골목 관절 비틀거린 몸 삐걱거리는 멀미를 참고 사각의 빈방 갇진 채 휘청이는 젊음 벽에 무겁게 기대었다 서랍 안 아련한 신문에 감싸진 보물 같은 사연들 비틀린 틈새 지나가는 인기척에도 기대에 찬 눈빛 새로운 집 안 비틀린 문을 열어 따스한 ...

thumbimg

[기고] 서병수 시장이 부산을 살렸다. - 강천형-
편집부 2016.07.01
[내외신문=송희숙 기자]서병수 시장이 부산을 살렸다. (강천형 기고) 부산 신공항은 우리나라 동남부의 신공항이다. 확장된 김해공항을 신김해 국제공항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가덕도도 부산에 있고, 김해공항도 부산에 있으니, 가덕도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불량식품, 신고로부터 시작하는 단속이 중요
강봉조 2016.07.01
(홍성경찰서 금마파출소 순경 김광우) 4대악 중 하나인 불량식품에 대해서 가볍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때문에 식품을 구입할 때 주의를 기울이는 경우가 없기도 하며 불량식품에 해당하는 식품을 보아도 사지 않을 뿐 그 밖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불량식품 정확히 알고 보자!
강봉조 2016.07.01
(홍성경찰서 광천지구대 순경 박재현) 지난 달, 지구대로 “어제부터 낯선 사람이 오토바이를 타고 다니며, 마을회관에서 노인들한테 약품을 판매하고 있으니, 순찰을 강화해줬으면 좋겠다.”는 1통의 민원전화가 왔다. 신속히 사건현장으로 출동, 마을회관 주변 순찰을 강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운전자에게 최고의 보험은 안전벨트!
강봉조 2016.06.30
(홍성경찰서 홍북파출소 순경 박종민) 요즘 무더운 여름 날씨와 함께 휴가철이 성큼 다가왔다. 이에 많은 사람들은 무더위를 피해 산으로 바다로 그리고 계곡으로 피서를 떠날 계획을 세우고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대부분 장거리 운전은 필수로 하게 될 텐데 피서 계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노인학대는 반인륜적 범죄행위입니다“
강봉조 2016.06.30
(홍성경찰서 여성청소년과장 이 호 진) 6. 15일은, 2005년 국제연합(UN)과 세계노인학대방지망(INPEA)이 노인학대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노인에 대한 부당한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지정한 『세계 노인학대 인식의 날』이다. 지정 당시만 해도 우리나 ...

thumbimg

(인터뷰) 미켈레&로랑 Duet Concert(부제:두 남자의 광기) / Relay Interview Guest No.6 배우 강태을
편집부 2016.06.29
: : 배우 강태을 인터뷰 모습 / Photo-유민정, 제공:투헤븐 엔터테인먼트[내외신문=김미령기자] 질투의 화신처럼 각인되어버렸지만 누구보다 모차르트를 알아봤던 사람, 그 음악의 특별함을 사랑했던 살리에리. 두 명의 모차르트에 이어 뮤지컬 <아마데우스(이전 제목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운전 중 스마트폰 이제 그만
강봉조 2016.06.29
(홍성경찰서 홍동장곡파출소 순경 이현한) 최근 뉴스기사를 살펴보면 ‘스몸비’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스몸비’는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길을 걷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로 스마트폰(Smart phone)과 좀비(Zombie)의 합성어이다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직진 우회전 차선, 비켜주지 않아도 됩니다.
강봉조 2016.06.29
(홍성경찰서 경무계 경장 이수호) 얼마 전 서울 강남대로 한복판에서 운전 중 시비 끝에 상대 운전자의 목을 조르고 폭행하여 기절시킨 후 도주한 사건이 방송을 통해 보도된 적이 있었다. 현장에서 도주한 40대 남성은 직진과 우회전이 가능한 직진 우회전 차선에서 우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경찰기념공원, 경찰에게 의미있는 장소이자 시민들의 쉼터
강봉조 2016.06.29
(홍성경찰서 금마파출소 순경 김광우) 2016년 6월 6일 현충일을 맞아 서울 중구 경찰기념공원이 개원식을 가지게 되었다. 경찰 창립 70년만에 최초로 생긴 경찰 전사·순직자에 관한 추모시설로 지금까지 1만 3700명 정도의 전사·순직자들이 있지만 이들 전부의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다문화 가족 돕는‘외국인 도움센터’아시나요?
강봉조 2016.06.27
(홍성경찰서 경무계 경위 김승현) 외국인 도움센터는 다문화 가족과 외국인이 경찰관서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범죄 신고와 민원접수를 할 수 있는 곳으로 외국인 범죄 피해예방 및 사회정착의 실질적 지원을 목적으로 개설되어 2010년 5월 20일부터 현재까지 운영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올바른 자전거 안전문화를 정착합시다"
강봉조 2016.06.24
(홍성경찰서 홍북파출소 순경 박종민) 최근 계속되는 맑은 날씨와 신선한 밤공기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집에 있던 자전거를 하나둘씩 꺼내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대표적으로 인기 있는 야외 레저활동 중 하나로, 국내의 자전거 이용 인구수는 약1200만명에 육박한다. ...

thumbimg

[기고]당진경찰서,즐거운 휴가를 위해 음주는 조금만!!
강봉조 2016.06.24
(당진경찰서 생활질서계장 경위 김택중) 무더위가 계속되는 6 ~8월 휴가철에는 계곡이나 바다 ,가까운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장소를 찾아간다. 피서지 주변은 많은 사람들로 붐비는데 연인들 오랜만에 본 친구들, 가족들과 즐거운 한때를 보내기 위한 자리지만, 그리 즐 ...

thumbimg

[기고]목포해양경비안전서,‘아시아의 단합과 우정을 위하여’
강봉조 2016.06.24
(김대식 목포해양경비안전서 3009함 함장) 여기는 남중국해 베트남 동방 200해리 해상 ! 최신예 대형 해경 경비함 3009함(3천톤급)은 2016년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주관 아시아 3개국(말레이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국외 합동훈련 35일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은 이제 그만!
강봉조 2016.06.24
(홍동장곡 파출소 허윤석 순경) 요즈음 휴대전화를 가지고 다니지 않는 사람을 찾기는 참 어렵다. 그만큼 우리 생활 속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전화, 메시지, 내비게이션 등 작은 네모상자 속에는 많은 기능들이 있다. 이 네모상자는 우리의 생활에 많은 편리함을 가져 ...
[기고]당진경찰서,식중독의 주범인 불량식품을 척결하자
강봉조 2016.06.23
(당진경찰서 송산파출소 순경 양선아) 날씨가 더워지면서 우리사회에서 반드시 척결 되어야 할 4대 사회악 중 에서 불량식품 3대 테마가 중점 단속 대상이 되고 있다. 3대 테마 단속에는 노인 등을 상대로 허위 광고 후 고가 판매 등 일명 떳 다방, 급식 관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1인 가구 범죄예방 그 대책은?
강봉조 2016.06.23
(홍성경찰서 홍북파출소 순경 김규식) 사람이라면 누구나 학업이나 직장 문제로 혼자 사는 경험을 해봤을 것이다. 현재 통계청 조사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1인 가구 수는 지난 해 처음으로 500만명을 돌파한 506만551가구를 기록하여, 10년 전보다 2배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주취자의 폭력, 도와주려고 하였다가 봉변
강봉조 2016.06.23
(홍성경찰서 금마파출소 순경 김광우) 여름이 다가올수록 밖으로 외출을 나오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주취자도 늘어나고 있으며 그와 관련된 신고가 많이 들어오고 있다. 주취자의 폭력은 주폭이라고 불리며 전부터 많은 문제가 되고 있었다. 주폭이란 만취상태 ...

thumbimg

[기고]홍성경찰서,불량식품에게도 필요한 관심
강봉조 2016.06.22
(홍성경찰서 홍동장곡파출소 순경 이현한) 사람이 살아가면서 먹거리는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이다. 먹는 활동을 통해서 인간은 생명을 유지하고 성장하며 활력을 얻는다. 그런데 단순히 허기를 채우고 에너지를 얻기 위해 섭취했던 먹거리에 대한 한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