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양자종합계획 수립 착수

박영진 기자 / 기사승인 : 2025-08-21 16:58:0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파이낸셜경제=박영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 배경훈 장관은 8월 21일(목)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퀀텀 프론티어(양자 개척자) 전략대화」를 개최하고, 국내 양자(Quantum) 기술 및 산업을 대표하는 산·학·연 전문가들과 양자종합계획 수립을 본격화하였다.

이번 전략대화는 세계 양자기술 동향과 우리의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양자법 시행에 따라 올해 말까지 수립 예정인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 산업 육성에 관한 종합계획」수립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향후 10년(5+5)을 내다보는 국가양자 단계별 이행계획(국가양자로드맵)으로서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대한민국 미래 도약을 견인할 양자 전략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날 배경훈 장관은 먼저 간담회에 앞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하 ‘표준연’)의 초전도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연구시설을 방문하였다. 초전도 양자컴퓨터 연구실에서는 최근 시연한 20큐비트 양자컴퓨터 성과와 향후 50큐비트 개발 계획을 청취하였으며, 양자통신 연구실에서는 소형 양자키분배(Quantum Key Distribution, QKD) 모듈 개발 등 주요 성과와 함께 표준연.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협업중인 양자통신 시험대(테스트베드) 운영 현황을 설명 받았다.

이후 이어진 간담회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세대, 이화여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과 삼성SDS, 지큐티코리아, 큐심플러스 등 기업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대한민국 양자전략, 양자 보안 혁신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하였다. 특히 배경훈 장관은 인공 지능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양자(퀀텀) 기술이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인공 지능과 양자기술의 융합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참석자들은 우리나라가 세계적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공 지능과 양자 기술의 융합을 빠르게 준비해야 된다는데 공감하면서, 이 외에도 국제 공급망 진입을 위한 양자 소·부·장 기업 육성과 소프트웨어 연구개발을 통한 활용시장 선점, 전문인력 양성 등을 주요 추진과제로 제안하였다. 아울러, 양자 보안시장의 창출을 위한 정부 주도의 실증 사업 등 정책적 뒷받침의 확대 역시 주요 과제로 제언되었다.

배경훈 장관은 “오늘 양자 개척자(퀀텀 프론티어) 전략대화를 통해 대한민국 양자기술·산업의 미래 10년 청사진을 그려볼 수 있어 뜻깊었다”고 말하고, “양자기술 분야별 장·단기 특화 육성전략과 양자+인공 지능(Quantum+AI 등) 핵심 과제들이 양자종합계획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다가오는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양자보안기술을 토대로 보안 사고체계(패러다임)를 혁신하는데에도 과기정통부가 앞장서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양자전략 본격화와 더불어, 양자기술·산업에 대한 대중 관심 제고를 위해 이날 포항공대에서는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소장 사사키 미사오) 주최로 “양자기술의 현재와 미래” 포럼이 개최되었다.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개최와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IYQ)를 기념하는 이번 토론회(포럼)는 특별 대중강연과 다자간 정책 토론회(포럼), 국제 학술대회(심포지엄)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최형준 연세대학교 교수, 엄상윤 IDQ 대표, 곽롱천 싱가폴 난양기술대 교수 등 각계를 대표하는 산·학·연 전문가들이 최신 양자기술 동향을 공유하였다.

 

파이낸셜경제 / 박영진 기자 you7984@hanmail.net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많이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