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경찰서 생활질서계장 경위 김택중)
얼마전부터 자동차 보복운전에 대한 뉴스가 끊이지 않고 나오고 있다. 예전부터도 보복운전에 대한 우려는 있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보복운전의 위험이 매우 심각해져 이로 인하여 많은 피해가 양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른바 보복운전에 대한 유형은 그 종류가 다양하지만, 그중 가장 많이 하는 보복 행위는, 상대방 차량을 추월한 후 갑자기 차로변경하기, 급차로 변경후 갑자기 급정거 하기, 상대방 자동차를 옆으로 밀어붙이기, 신호 대기하는 자동차를 슬금슬금 끼어든후 신호대기하는 척하다가 뒤차를 향해 강한 후진 하는 행위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러하듯 보복운전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은, “상대방의 배려를 생각하지 않는 것” 과, “운전자를 무시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상대방이 무리하게 추월하거나, 경미한 실수가 있더라도 마음을 진정하고 먼저 양보를 하는 등의 미덕을 가져야 하며, 상대방은 양보의 손짓을 보낸다거나 비상등을 점멸하여 미안함을 표시하여 상대방으로부터 불쾌함을 해소 시켜주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다.
만일에 그럼에도 “화가 난다”면, 자동차 안에 사랑하는 나의 가족이 타고 있다고 생각하면 마음이 이내 가라 앉을 것이다. 자동차 운전은 배려와 양보이다, 서로 조금만 이해하는 시선으로 바라본다면 보복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조금은 줄일수 있다는 견해이다.
자동차 운전자들의 배려와 양보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인 것 같다.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