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5년 상반기 현장대응요원 방재복 착용 실습 및 장비숙달 |
[파이낸셜경제=박영진 기자] 부산시는 오늘(23일)부터 10월 24일까지 이틀간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원전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시 전역에서 '위기관리 매뉴얼 실증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위기관리 매뉴얼 실증훈련’은 방사능재난 시 주민 보호조치를 위한 기관별 비상경보 전파 및 방사선 탐지 임무와 역할을 명확히 주지시키고 실제 상황 대응 능력을 숙달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매년 시행하는 훈련이다.
시는 방사능재난 대비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자체 주관 합동훈련, 정부 주관 연합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을 토대로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실시하는 특성화 훈련인 광역 단위 합동 방사선 탐지 훈련을 한다.
이번 훈련은 실제 사고 상황을 가정하여 시·군·경·학계 연합으로 29개 기관 160여 명이 참여하는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시 원자력안전과를 중심으로 ▲16개 구·군 ▲남해지방해양경찰청 ▲부산경찰청 ▲육해공군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29개 유관기관이 참여해 원전 사고에 대응 능력을 강화한다.
유관기관들은 유사시 긴밀히 협조해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며 ▲1일 차(23일) 현장대응요원 역량강화 교육 ▲2일 차(24일) 행동화 훈련으로 나눠 진행된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처음으로 부산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가 참여하여 방사능 비상 대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관내 인력 양성도 추진할 계획이다.
[1일 차] 23일 '사전교육'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지영용 박사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후쿠시마현의 환경방사선 탐지 및 현황, 국립창원대학교 김병직 교수가 환경방사선탐지 장비 특성 및 방사능재난 시 지자체의 역할 등 전문특강으로 현장 대응요원의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2일 차] 24일 '행동화 훈련'에서는 방사선비상 상황을 고려하여 시행된다. ▲함정 ▲헬기 ▲차량 등이 실제 기동하여 광범위한 지역의 방사선을 신속히 탐지할 수 있도록 기관별 임무와 역할을 확인·점검한다.
시가 훈련 상황을 총괄하여 진행되며, ▲‘육상탐지’는 시, 16개 구·군, 육해공군이 참여하고 ▲‘해상탐지’는 남해지방해양경찰청(부산·울산해경)이 ▲‘공중탐지’는 시와 부산경찰청, 부산대 원자력안전 및 방재연구소가 맡는다.
또한, 방사선비상계획 구역 내 10개 구·군은 행정복지센터에서 자체 운영 중인 다목적 이동식 거리 방송장비로 실시간 관제도 병행한다.
주요 내용은 ▲위기관리 매뉴얼 검증 ▲유관기관 협업을 통한 효과적인 대응체계 마련 ▲방사선 비상단계에 따른 기관별 임무·역할 정립 ▲현장과의 실시간 통신체계 확립 및 실시간 관제 등이다.
기관별 탐지구역 및 탐지조직의 편성·운영의 적절성과 실측 기반 주민 보호조치를 위한 지자체 초기대응 체계 등을 검증한다.
현장 대응요원 대상 사전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및 완벽한 훈련 준비와 방사선 비상단계(백색, 청색, 적색)에 따른, 기관별 임무·역할을 정립하고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국가재난안전통신망(PS-LTE)* 및 방사능방재그룹망(RPG-LTE) 등을 활용해 현장 대응요원과 실시간 상황을 공유하며, 현장지휘 및 상황전파체계를 확고하게 구축한다.
김기환 시 시민안전실장은 “방사능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안전이 최우선이며, 관·군·경·연구소·학계까지 손잡고 방사선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하여 글로벌 해양도시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