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정책복지위, 보건환경연구원·충북연구원·충북여성재단 행감 |
[파이낸셜경제=김기보 기자] 충북도의회 정책복지위원회는 7일 보건환경연구원을 비롯해 충북연구원, 충북여성재단을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김종필 의원(충주4)은 “보건환경연구원 연구직 결원이 10명에 달한다”며 “주요 부서의 인력 부족이 업무 공백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 “결원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인력 충원과 인사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충주농산물검사소의 보안 취약 문제와 여성 근무자 안전대책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이동우 의원(청주1)은 “「충청북도 급식 식재료의 방사성물질 검사에 관한 조례」가 시행된 지 6개월이 지났지만, 조례에서 규정한 ‘방사성물질 안전급식 지원위원회’가 아직 구성되지 않았다”며 “조례 이행 의지가 부족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위원회 구성을 지연할 것이 아니라, 식품안전위원회와 기능 조정을 병행하되 조례의 취지를 살린 독립적 운영체계를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헌 의원(청주4)은 “보건환경연구원 홈페이지의 약수터 검사정보가 게시 시기별로 다르고 최신 검사 결과가 일원화되어 있지 않다”며 “도민이 신뢰할 수 있도록 정보공개 체계와 홈페이지 관리 기준을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박 의원은 또 “도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건강 관련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 기관의 공공성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김현문 의원(청주14)은 “어린이과학체험교실이 특정 학교에만 집중돼 있다”며 “일반학교로 체험 기회를 확대해 더 많은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의원은 또 “지역사회 악취 저감과 관련해 부적격 시설에 대한 결과 통보와 사후조치를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정 의원(음성1)은 “보건환경연구원의 연구 및 조사 결과는 도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또한 “최근 음성 화학물질 누출사고와 같은 상황에서 연구원이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현장 대응력 강화를 주문했다.
이상식 위원장(청주9)은 “골프장 농약 사용이 인근 농가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다”며 “농약 검사 결과를 도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도록 공개 의무화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이 위원장은 또한 “정확한 검사와 신속한 대응을 위해 노후 검사장비의 조속한 교체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