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경제=박영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원장 이상훈)은 디지털‧인공지능 전환의 핵심 인프라인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도입이 국내 전 산업 분야에 확산될 수 있도록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융합서비스 사례 및 전망’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이음5세대 이동통신)은 건물, 토지 등 특정 구역에서 특화망 주파수를 활용하여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망(네트워크)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및 인공지능 전환 도입을 위한 핵심 기반(인프라)으로 활용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1년에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도입 정책을 마련하여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실증 등을 추진한 바 있으며, 현재 39개 기업‧기관이 92개소에서 물류, 제조, 시설관리,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산업 분야에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도입을 확산시키기 위해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과 함께 작년부터 현장 발표회(세미나)를 연속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는 식품, 제조, 로봇, 지능형 건물(스마트빌딩) 등 수요 산업 분야의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도입 지원을 위한 발표회(세미나)를 7월부터 4회에 걸쳐 개최할 예정이다.
7월 17일 전라북도 익산에 위치한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에서 진행된 1차 발표회(세미나)는 ㈜엘지전자, ㈜에치에프알, ㈜스맥, 위즈코어(주) 등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관련 장비, 서비스 전문 기업이 참여하여 식품 산업분야 대상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적용 및 활용 최신 사례를 발표하였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을 구축‧운영하고자 하는 수요기업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지난 ’21년에 마련한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방침(가이드라인)’을 개정하여 배포하였으며, 이를 통해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을 도입하고자 하는 수요기업의 시행착오가 더 줄어들고 특화망 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차 세미나는 9월 초에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될 예정인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전시회(PNT FAIR 2025)와 연계하여 5세대 이통통신 특화망 장비 개발사, 공급사, 수요기업 등을 대상으로 특화망 도입 주요 사례 및 국내‧외 현황과 전망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며, 9월 말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인 3차 발표회(세미나)에서는 지능형 건물(스마트+빌딩)과 지능형 친환경 산단(스마트그린산단)의 디지털‧인공지능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건축공간연구원 및 한국산업단지공단과 협력하여 해당 분야에 특화된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사례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향 등을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4차 세미나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협력하여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을 기반으로 한 로봇 실증사례를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11월, 코엑스)으로, 로봇산업의 도약을 위한 협력 방안 등에 대해 함께 고민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지금은 전 산업 분야가 디지털화(DX)를 넘어 인공지능화(AX)로 진화하고 있는 전환기로,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등 디지털기반(인프라)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하며, “관련 발표회(세미나)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와 협력을 확대함과 동시에, 앞으로도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도입이 확산될 수 있도록 추가 주파수 공급 검토, 제도개선, 기술지원, 5새대 이동통신 특화망 도입 자문(컨설팅) 등을 지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파이낸셜경제 / 박영진 기자 you7984@hanmail.net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