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에게 의미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시장에 내놓고도 언론접근이 어려워 보도 기회를 얻지 못한 경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기업 발표 뉴스를 알려주는 국내 유일의 뉴스플랫폼은 중소기업, 자영업, 벤처. 스타트 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을 돕겠습니다.
실시간 뉴스와 주요뉴스, 긴급속보 그리고 기업 발표 뉴스를 알려주는 국내 유일의 뉴스플랫폼에 송출됩니다.

공공기관이나 회사, 소상공인 등의 알림, 행사 보도자료, 홍보기사를 자유롭게 올릴 수 있습니다.
이곳에 올린 보도자료는 파이낸셜경제와 뉴스플랫폼 등 100여곳 이상 언론사에 동시에 노출됩니다.

✔ 뉴스플랫폼은 주요 언론사의 실시간 뉴스 및 속보를 시청 할 수 있는 전파력이 강한 언론포털입니다.



보도자료 등록 신청 →

사단법인 한국기술개발협회, R&D 예산 확대 맞아 기업 '맞춤형 R&D 아이템' 발굴 특별 지원 프로그램 가동

이      름 한국기술개발협 작 성 일 2025-11-06 조 회 수 1346
홈페이지 www.kotera.or.kr
첨부파일 부스팅.jpg / size: 95.9 KB 

국내 최대 정책자금 커뮤니티 정실미 다음카페를 공식 후원하는 비영리민간단체 (사)한국기술개발협회(KOTERA)가 2026년도 R&D 예산 35조 3천억 원 시대를 맞아 기업들의 R&D 과제 성공 첫 단계를 돕기 위해 'R&D과제 부스팅 프로젝트'를 11월부터 상시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무엇을 개발할지' 고민하는 기업들의 해묵은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베스트셀러 '정책자금핵심전략'의 주저자인 KOTERA 전문위원 단장이 직접 나서, R&D 코인 1개(사용)만으로 기업의 R&D 역량에 최적화된 기술개발 아이템을 발굴하고, 실제 사업계획서에 바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기술개발 목표까지 제안해 주는 상시 지원 프로그램이다.


참여 대상은 ◈정실미◈ 카페 정회원 및 (사)한국기술개발협회 회원 중 유효한 KOTERA R&D 코인을 보유한 기업이다. 특히, 본 프로젝트는 아이템 제안 이후의 R&D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 사업 연계는 의무가 아니지만, 기업의 대외 신인도 및 기술기반 역량 제고를 위한 특허출원을 반드시 병행해야 하는 특별 조건이 있다.


프로젝트는 총 8단계에 걸쳐 정밀하게 진행된다. 기업의 R&D 역량 진단부터 시작하여 기술 분야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거쳐 최종 R&D 아이템을 제안하고, 실제 사업계획서에 활용할 최종개발목표까지 제공된다. 프로젝트 완료 후 제안 받은 아이템 및 출원특허의 소유권은 모두 신청 기업에 귀속되어 자유로운 활용이 가능하다.


(사)한국기술개발협회 관계자는 "개발 역량은 갖추었으나 어떤 과제에 도전해야 할지 막막해하는 중소기업이 많다"며, "이번 부스팅 프로젝트는 소량의 코인만으로 기업이 가장 경쟁력 있는 아이템을 찾고, R&D 과제 수주에 자신감을 얻도록 돕는 실질적인 지원책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R&D과제 부스팅 프로젝트'는 상시 신청을 받고 있으나, 품질 보장을 위해 월간 선착순 2개사로 제한한다. 신청을 원하는 기업은 첨부된 신청서를 작성하여 이메일(info@kotera.or.kr)로 접수해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사)한국기술개발협회 사무국(02-572-8520)이나 담당자(010-2698-2971)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




NO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101 한국기술개발협회, 2026년도 선택형 후불제 통합맞춤컨설팅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 한국기술개발협 2025.11.27 2
100 한국기술개발협회, 협회 부설 KOTERA 정책자금 평생교육원 2025년 12월 특별 세미나 일정 발표 한국기술개발협 2025.11.24 428
» 사단법인 한국기술개발협회, R&D 예산 확대 맞아 기업 '맞춤형 R&D 아이템' 발굴 특별 지원 프로그램 가동 한국기술개발협 2025.11.06 1346
98 한국기술개발협회, 협회 부설 KOTERA 정책자금 평생교육원 2025년 11월 특별 세미나 일정 발표 한국기술개발협 2025.10.29 1887
97 한국기술개발협회, 협회 부설 KOTERA 정책자금 평생교육원 2025년 10월 특별 세미나 일정 발표_파이낸셜경제 한국기술개발협 2025.09.30 3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