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경제=박영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2025년 「미래개척융합과학기술개발」 사업의 6개 신규 과제를 수행할 기관을 선정하고, 연구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미래개척융합과학기술개발 사업은 융합연구 분야 과기정통부 대표 사업으로, 이종 간 융합연구・기술 동반상승 효과(시너지)를 통하여, 미래 기술・산업 사고체계(패러다임)를 바꿀 수 있는 유망 융합신기술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미래유망기술개척자(미래유망기술파이오니어) 및 국제융합연구지원(글로벌융합연구지원) 사업에서 인공지능 인간형 로봇(AI 휴머노이드) 등을 포함하여 총 4개 과제제안요청서(RFP)를 공고하고, 61개 과제 접수 및 6개 신규과제를 선정(평균 경쟁률 10:1)하였다.
미래유망융합기술개척자(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 사업은 미래 유망 신기술·신산업을 개척하는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융합연구를 지원한다.
동일 연구 주제(RFP)에 대해 2개 과제가 1단계(2년, 연 6억 원) 연구 수행 후 상대적으로 우수한 1개 과제만 2단계(3년, 연 12억 원) 연구를 추가 진행하는 경쟁형 방식으로 과제별 최대 5년, 총 45억 원을 지원하며, 선정과제(4개)는 다음과 같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성욱 연구팀과 동국대 임수철 교수팀은 대량의 데이터 학습으로 단순 반복 작업만 가능한 인공지능 인간형 로봇(AI휴머노이드) 한계를 넘어, 소량 데이터(현재 모방학습 대비 10% 이하) 학습으로 접촉 물체 및 환경 변화에도 다지 핸드 조작(성공률 80% 이상)이 가능한 인공지능 인간형 로봇(AI휴머노이드) 기술을 경쟁한다.
가천대 김대건 교수팀과 성균관대 백정민 교수팀은 배터리 및 별도 전원 없이 소형기기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에너지원을 통합・활용(직류 1mW 이상) 하는 에너지 수확(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을 경쟁한다.
국제융합연구(글로벌융합연구)는 국내 기술·자원만으로 개발하기 어려운 신기술 확보를 위해 사전 기획연구(’25.4~’25.6, 5천만원, 6개)를 거쳐 해외 선도 연구기관과의 국제공동연구를 과제별 최대 5년, 총 54억 원을 지원하며, 선정과제(2개)는 다음과 같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이수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학과 협력하여, 인공 지능 인간형 로봇(AI휴머노이드)이 장시간 구동할 수 있도록 인체 전신 감각과 운동 원리를 활용한 에너지 효율화(20% 이상 향상) 기술을 개발한다.
울산과학기술원 장지욱 교수팀은 미국 스탠포드대학 인터페이스 과학 및 촉매센터(SUNCAT)와 협력하여, 외부 태양광이나 전력 없이 자체 촉매 반응만으로 물로부터 수소를 지속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파이낸셜경제 / 박영진 기자 you7984@hanmail.net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